1. 이자율의 특성
1) 경제주체들의 의사결정 기준
2) 향후 거시경제의 움직임에 관한 주요 정보 제공
3) 화폐뿌문과 실물부문을 연결시키는 주요 변수
2. 이자율의 결정이론
1) 고전학파의 저축, 투자설
- 이자율이 재화시정에서 저축과 투자에 의해 결정
- 저축과 투자가 일치하는 수준에서 실질이자율이 결정
2) 케인즈의 유동성 선호설
- 이자율은 화폐의 공급과 수요에 의해 결정되는 화폐적 현상
- 참조) 고전학파 : 이자를 절약에 대한 보상 / 케인즈 : 유동성의 희생에 대한 보상
- 케인즈는 화폐수요의 투기적 동기를 강조, 이자율이 상승하면 화폐 보유의 기회비용이 상승하므로 사람들은 채권수요를 늘리고 화폐수요를 줄이력 할 것
- 화폐공급과 화폐수요가 일치하는 수준에서 명목이자율이 결정
3) 현대적 대부자금설
- 대부자금은 '실제로 대부 가능한 자금'으로 정의
- 대부자금의 공급 : 개인저축/기업저축/정부예산 흑자/통화공급 증가/화폐퇴장 감소
- 대부자금의 수요 : 가계 신용구매/기업투자/정부예산 적자/통화공급 감소/화폐퇴장 증가
4) 중첩세대 이론 (OG모형)
- 소비 대여 모형
3. 경기와 통화정책 변화에 의한 이자율 변동
1) 경기변동국면과 이자율의 움직임
- 경기변동의 확자오가 수축국면에서 이자율의 움직임은 반드시 한 방향으로만 나타난다고 볼 수 없음
- 경기 확장기에 이자율의 상승 하락여 부는 대부자금의 수요와 공급 중 어떤것이 더 크게 증가하는지에 달림
2) 통화정책과 이자율의 변동
- 통화량 증가 => 이자율 하락 => 투자 증가 => 산출량 증가
- 프리드만 : 유동성 효과는 단지 일시적일 뿐임 (소득효과)
- 피셔 방정식 : 명목이자율 = 실질이자율 + 기대 인플레이션
- 이자율을 조정하기 위한 통화정책은 단기적으로는 효과가 있지만 장기적으론느 실질이자율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 채 명목이자율만 상승시킴
4. 이자율의 기간구조이론
1) 채권투자에 있어서 기본이 됨 (종목 선별, 포트폴리오 금리위험 파악, 면역전략 등)
2) 기간구조 파악의 이점
- 채권 발행자의 입장에서 만기별 채권의 가격 예상과 함께 기간별 자금조달흐름에 대한 적절한 판단을 가능케 함
- 투자자들로 하여금 동일한 만기 또는 다양한 만기를 가진 채권들 간의 수익률을 비교, 예측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차익거래를 통한 채권운용의 기회를 제공
3) 불편 기대 이론
- 투자자들이 모든 채권을 완전 대체재로 인식한다는 가정
- 수익률 곡선의 형태가 미래 단기금리에 대한 투자자의 예상에 의하여 결정
-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수익률 곡선은 일반적으로 우상향
4) 유동성 프리미엄 이론
- 힉스(Hicks)에 의해 대표됨
- 장기채권의 수익률에는 미래 수익률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유동성 프리미엄이 포함된다고 봄
- 힉스는 유동성 프리미엄이 미래로 갈수록 커지는 것으로 보았음.
- 불편 기대 이론에 유동성 프리미엄의 개념을 포함시켜 우상향 패턴을 설명할 수 있게 함
5) 시장분할 이론
- 투자자들이 채권만기에 따라 선호 대상이 다르기 때문에 특정 만기의 채권을 선호하는 투자자들에 의해서 채권시장이 다른 특성을 갖는 시장으로 분할되어 금리가 결정
- 장단기 금리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확인이 불가
[증권경제] 8. 이자율의 결정과 변화
1. 이자율의 특성
1) 경제주체들의 의사결정 기준
2) 향후 거시경제의 움직임에 관한 주요 정보 제공
3) 화폐뿌문과 실물부문을 연결시키는 주요 변수
2. 이자율의 결정이론
1) 고전학파의 저축, 투자설
- 이자율이 재화시정에서 저축과 투자에 의해 결정
- 저축과 투자가 일치하는 수준에서 실질이자율이 결정
2) 케인즈의 유동성 선호설
- 이자율은 화폐의 공급과 수요에 의해 결정되는 화폐적 현상
- 참조) 고전학파 : 이자를 절약에 대한 보상 / 케인즈 : 유동성의 희생에 대한 보상
- 케인즈는 화폐수요의 투기적 동기를 강조, 이자율이 상승하면 화폐 보유의 기회비용이 상승하므로 사람들은 채권수요를 늘리고 화폐수요를 줄이력 할 것
- 화폐공급과 화폐수요가 일치하는 수준에서 명목이자율이 결정
3) 현대적 대부자금설
- 대부자금은 '실제로 대부 가능한 자금'으로 정의
- 대부자금의 공급 : 개인저축/기업저축/정부예산 흑자/통화공급 증가/화폐퇴장 감소
- 대부자금의 수요 : 가계 신용구매/기업투자/정부예산 적자/통화공급 감소/화폐퇴장 증가
4) 중첩세대 이론 (OG모형)
- 소비 대여 모형
3. 경기와 통화정책 변화에 의한 이자율 변동
1) 경기변동국면과 이자율의 움직임
- 경기변동의 확자오가 수축국면에서 이자율의 움직임은 반드시 한 방향으로만 나타난다고 볼 수 없음
- 경기 확장기에 이자율의 상승 하락여 부는 대부자금의 수요와 공급 중 어떤것이 더 크게 증가하는지에 달림
2) 통화정책과 이자율의 변동
- 통화량 증가 => 이자율 하락 => 투자 증가 => 산출량 증가
- 프리드만 : 유동성 효과는 단지 일시적일 뿐임 (소득효과)
- 피셔 방정식 : 명목이자율 = 실질이자율 + 기대 인플레이션
- 이자율을 조정하기 위한 통화정책은 단기적으로는 효과가 있지만 장기적으론느 실질이자율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 채 명목이자율만 상승시킴
4. 이자율의 기간구조이론
1) 채권투자에 있어서 기본이 됨 (종목 선별, 포트폴리오 금리위험 파악, 면역전략 등)
2) 기간구조 파악의 이점
- 채권 발행자의 입장에서 만기별 채권의 가격 예상과 함께 기간별 자금조달흐름에 대한 적절한 판단을 가능케 함
- 투자자들로 하여금 동일한 만기 또는 다양한 만기를 가진 채권들 간의 수익률을 비교, 예측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차익거래를 통한 채권운용의 기회를 제공
3) 불편 기대 이론
- 투자자들이 모든 채권을 완전 대체재로 인식한다는 가정
- 수익률 곡선의 형태가 미래 단기금리에 대한 투자자의 예상에 의하여 결정
-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수익률 곡선은 일반적으로 우상향
4) 유동성 프리미엄 이론
- 힉스(Hicks)에 의해 대표됨
- 장기채권의 수익률에는 미래 수익률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유동성 프리미엄이 포함된다고 봄
- 힉스는 유동성 프리미엄이 미래로 갈수록 커지는 것으로 보았음.
- 불편 기대 이론에 유동성 프리미엄의 개념을 포함시켜 우상향 패턴을 설명할 수 있게 함
5) 시장분할 이론
- 투자자들이 채권만기에 따라 선호 대상이 다르기 때문에 특정 만기의 채권을 선호하는 투자자들에 의해서 채권시장이 다른 특성을 갖는 시장으로 분할되어 금리가 결정
- 장단기 금리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확인이 불가
1) 경제주체들의 의사결정 기준
2) 향후 거시경제의 움직임에 관한 주요 정보 제공
3) 화폐뿌문과 실물부문을 연결시키는 주요 변수
2. 이자율의 결정이론
1) 고전학파의 저축, 투자설
- 이자율이 재화시정에서 저축과 투자에 의해 결정
- 저축과 투자가 일치하는 수준에서 실질이자율이 결정
2) 케인즈의 유동성 선호설
- 이자율은 화폐의 공급과 수요에 의해 결정되는 화폐적 현상
- 참조) 고전학파 : 이자를 절약에 대한 보상 / 케인즈 : 유동성의 희생에 대한 보상
- 케인즈는 화폐수요의 투기적 동기를 강조, 이자율이 상승하면 화폐 보유의 기회비용이 상승하므로 사람들은 채권수요를 늘리고 화폐수요를 줄이력 할 것
- 화폐공급과 화폐수요가 일치하는 수준에서 명목이자율이 결정
3) 현대적 대부자금설
- 대부자금은 '실제로 대부 가능한 자금'으로 정의
- 대부자금의 공급 : 개인저축/기업저축/정부예산 흑자/통화공급 증가/화폐퇴장 감소
- 대부자금의 수요 : 가계 신용구매/기업투자/정부예산 적자/통화공급 감소/화폐퇴장 증가
4) 중첩세대 이론 (OG모형)
- 소비 대여 모형
3. 경기와 통화정책 변화에 의한 이자율 변동
1) 경기변동국면과 이자율의 움직임
- 경기변동의 확자오가 수축국면에서 이자율의 움직임은 반드시 한 방향으로만 나타난다고 볼 수 없음
- 경기 확장기에 이자율의 상승 하락여 부는 대부자금의 수요와 공급 중 어떤것이 더 크게 증가하는지에 달림
2) 통화정책과 이자율의 변동
- 통화량 증가 => 이자율 하락 => 투자 증가 => 산출량 증가
- 프리드만 : 유동성 효과는 단지 일시적일 뿐임 (소득효과)
- 피셔 방정식 : 명목이자율 = 실질이자율 + 기대 인플레이션
- 이자율을 조정하기 위한 통화정책은 단기적으로는 효과가 있지만 장기적으론느 실질이자율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 채 명목이자율만 상승시킴
4. 이자율의 기간구조이론
1) 채권투자에 있어서 기본이 됨 (종목 선별, 포트폴리오 금리위험 파악, 면역전략 등)
2) 기간구조 파악의 이점
- 채권 발행자의 입장에서 만기별 채권의 가격 예상과 함께 기간별 자금조달흐름에 대한 적절한 판단을 가능케 함
- 투자자들로 하여금 동일한 만기 또는 다양한 만기를 가진 채권들 간의 수익률을 비교, 예측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차익거래를 통한 채권운용의 기회를 제공
3) 불편 기대 이론
- 투자자들이 모든 채권을 완전 대체재로 인식한다는 가정
- 수익률 곡선의 형태가 미래 단기금리에 대한 투자자의 예상에 의하여 결정
-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수익률 곡선은 일반적으로 우상향
4) 유동성 프리미엄 이론
- 힉스(Hicks)에 의해 대표됨
- 장기채권의 수익률에는 미래 수익률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유동성 프리미엄이 포함된다고 봄
- 힉스는 유동성 프리미엄이 미래로 갈수록 커지는 것으로 보았음.
- 불편 기대 이론에 유동성 프리미엄의 개념을 포함시켜 우상향 패턴을 설명할 수 있게 함
5) 시장분할 이론
- 투자자들이 채권만기에 따라 선호 대상이 다르기 때문에 특정 만기의 채권을 선호하는 투자자들에 의해서 채권시장이 다른 특성을 갖는 시장으로 분할되어 금리가 결정
- 장단기 금리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확인이 불가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0 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