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기변동의 정의와 특성
1) 공행성 (Comovemet)
- 주요한 거시경제 변수들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상
(1) 경제 전반의 총체적 변화라는 특징을 가짐
(2) 한번 시작되면 오랜 기간 그 국면에 머무르는 '지속성'
(3) 경기 변동은 어느 한 국가 혹은 특정 시기에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 모든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 난다는 '보편성'
(4) 반드시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축과 확장을 계속 반복한다는 '주기성'
(5) 경기변동은 확장국면과 수축국면이 서로 다른 패턴을 보이는 '비대칭성'
2. 경기순환과 성장순환
1) Y = T + C + S + I
- 추세 요인 (T) : 경제 시계열이 장기적으로 상승 또는 하락하는 움직임
- 계절적 요인 (S) : 계절의 변화 ,명절, 국가적 행사 등 특정 분기에 발생하여 주기적인 움직임을 보임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단순평균법, 이동평균법, X-11 ARIMA, X-12 ARIMA 등 이용
- 불규칙 요인 (I): 순환 요인, 계절적 요인, 추세 요인을 설명할 수 없는 부분, 주로 가무 등과 같은 변화
' MCD(Months for Cyclical Dominance) 등 이용
- 순환 요인 (C)
3. 경기순환의 국면 및 기준 순환일
1) 2분법
- 우리나라에서는 확장국면(회복, 호황)과 수축국면(후퇴, 불황)으로 구분하는 2분법 이용
2) 4분법
- 회복 / 호황 / 후퇴 / 불황 4가지로 나누는 것
4. 경기지수
1) 경기지수 : 경기동향을 알기 위한 지수, 대표적으로 경기종합지수(Composite Index)
- 기업경기실사지수 (BSI) : 100기준, 100이상이면 낙관 / 100이하면 비관
- 경기확산지수 (DI) : 경기의 변화 방향만 파악 / 경기국면 및 전환점 파악 가능, 50기준
2) 경기종합지수의 구성지표
- 선행종합지수
' 구인구직비율 / 재고순환지표 / 소비자기대지수 / 기계류내수출하지수 / 건설수주액(실질) / 수출입물가비율 / 코스피지수 / 장단기금리차
- 동행종합지수
' 비농립어업취업자 수 / 광공업생산지수 / 서비스업생산지수 / 소매판매액지수 / 내수출하지수 / 건설기성액(실질) / 수입액(실질)
- 후행종합지수
' 상용근로자 수 / 생산자제품재고지수 / 도시가계소비지출(실질) / 소비재수입액(실질) / 회사채유통수익률
5. 경기변동 이론
1) 케인즈의 경기변동 이론
- 경기변동의 원인은 독립지출인 투자의 불안정성이라 봄
- 경기변동 현상이 내생적으로 초래되는 시장의 실패라 간주
- 케인즈 이후 케이지안 경제학자들은 승수-가속도 모형으로 경기변동을 정형화시킴
' 승수-가속도 모형에 따르면 한계소비성향과 가속도 계수에 의해 산출량의 시간에 걸친 변화경로가 결정됨
- 케인즈 모형과 케이지안 모형 모두 스테그플레이션 현상을 설명하지 못함
2) 균형 경기변동 이론
- 소비자는 예산 제약 하에서 효용 극대화를 통해 수요를 결정, 생산자는 이윤극대화를 위한 적정 투자량과 고용량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외부적인 경제충격에 대한 조정을 함에 따라 소비, 투자 , 생산이 변화하게 되며 그로 인해 결국 경기변동이 발생
- 외생적 교란의 요인이 무엇인가에 따라
' 화폐적 균형 경기변동 이론 (Monetary Business Cycle, MBC)
- 경기변동은 예상치 못한 화폐량의 변동 (예상치 못한 화폐공급)
' 실물적 균형 경기변동 이론 (Real Business Cycle, RBC)
- 실물요인에 의한 경기변동 (기술적 변화, 인구변화 ,소비자 선호 변화, 정부 충격 등)
- 충격은 추세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
- 경기 변동의 지속성을 설명
- 산출량의 변화가 화폐에 영향을 주는 역의 인과관계가 있다고 본다
[증권경제] 12. 경기변동 이론
1. 경기변동의 정의와 특성
1) 공행성 (Comovemet)
- 주요한 거시경제 변수들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상
(1) 경제 전반의 총체적 변화라는 특징을 가짐
(2) 한번 시작되면 오랜 기간 그 국면에 머무르는 '지속성'
(3) 경기 변동은 어느 한 국가 혹은 특정 시기에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 모든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 난다는 '보편성'
(4) 반드시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축과 확장을 계속 반복한다는 '주기성'
(5) 경기변동은 확장국면과 수축국면이 서로 다른 패턴을 보이는 '비대칭성'
2. 경기순환과 성장순환
1) Y = T + C + S + I
- 추세 요인 (T) : 경제 시계열이 장기적으로 상승 또는 하락하는 움직임
- 계절적 요인 (S) : 계절의 변화 ,명절, 국가적 행사 등 특정 분기에 발생하여 주기적인 움직임을 보임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단순평균법, 이동평균법, X-11 ARIMA, X-12 ARIMA 등 이용
- 불규칙 요인 (I): 순환 요인, 계절적 요인, 추세 요인을 설명할 수 없는 부분, 주로 가무 등과 같은 변화
' MCD(Months for Cyclical Dominance) 등 이용
- 순환 요인 (C)
3. 경기순환의 국면 및 기준 순환일
1) 2분법
- 우리나라에서는 확장국면(회복, 호황)과 수축국면(후퇴, 불황)으로 구분하는 2분법 이용
2) 4분법
- 회복 / 호황 / 후퇴 / 불황 4가지로 나누는 것
4. 경기지수
1) 경기지수 : 경기동향을 알기 위한 지수, 대표적으로 경기종합지수(Composite Index)
- 기업경기실사지수 (BSI) : 100기준, 100이상이면 낙관 / 100이하면 비관
- 경기확산지수 (DI) : 경기의 변화 방향만 파악 / 경기국면 및 전환점 파악 가능, 50기준
2) 경기종합지수의 구성지표
- 선행종합지수
' 구인구직비율 / 재고순환지표 / 소비자기대지수 / 기계류내수출하지수 / 건설수주액(실질) / 수출입물가비율 / 코스피지수 / 장단기금리차
- 동행종합지수
' 비농립어업취업자 수 / 광공업생산지수 / 서비스업생산지수 / 소매판매액지수 / 내수출하지수 / 건설기성액(실질) / 수입액(실질)
- 후행종합지수
' 상용근로자 수 / 생산자제품재고지수 / 도시가계소비지출(실질) / 소비재수입액(실질) / 회사채유통수익률
5. 경기변동 이론
1) 케인즈의 경기변동 이론
- 경기변동의 원인은 독립지출인 투자의 불안정성이라 봄
- 경기변동 현상이 내생적으로 초래되는 시장의 실패라 간주
- 케인즈 이후 케이지안 경제학자들은 승수-가속도 모형으로 경기변동을 정형화시킴
' 승수-가속도 모형에 따르면 한계소비성향과 가속도 계수에 의해 산출량의 시간에 걸친 변화경로가 결정됨
- 케인즈 모형과 케이지안 모형 모두 스테그플레이션 현상을 설명하지 못함
2) 균형 경기변동 이론
- 소비자는 예산 제약 하에서 효용 극대화를 통해 수요를 결정, 생산자는 이윤극대화를 위한 적정 투자량과 고용량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외부적인 경제충격에 대한 조정을 함에 따라 소비, 투자 , 생산이 변화하게 되며 그로 인해 결국 경기변동이 발생
- 외생적 교란의 요인이 무엇인가에 따라
' 화폐적 균형 경기변동 이론 (Monetary Business Cycle, MBC)
- 경기변동은 예상치 못한 화폐량의 변동 (예상치 못한 화폐공급)
' 실물적 균형 경기변동 이론 (Real Business Cycle, RBC)
- 실물요인에 의한 경기변동 (기술적 변화, 인구변화 ,소비자 선호 변화, 정부 충격 등)
- 충격은 추세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
- 경기 변동의 지속성을 설명
- 산출량의 변화가 화폐에 영향을 주는 역의 인과관계가 있다고 본다
1) 공행성 (Comovemet)
- 주요한 거시경제 변수들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상
(1) 경제 전반의 총체적 변화라는 특징을 가짐
(2) 한번 시작되면 오랜 기간 그 국면에 머무르는 '지속성'
(3) 경기 변동은 어느 한 국가 혹은 특정 시기에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 모든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 난다는 '보편성'
(4) 반드시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축과 확장을 계속 반복한다는 '주기성'
(5) 경기변동은 확장국면과 수축국면이 서로 다른 패턴을 보이는 '비대칭성'
2. 경기순환과 성장순환
1) Y = T + C + S + I
- 추세 요인 (T) : 경제 시계열이 장기적으로 상승 또는 하락하는 움직임
- 계절적 요인 (S) : 계절의 변화 ,명절, 국가적 행사 등 특정 분기에 발생하여 주기적인 움직임을 보임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단순평균법, 이동평균법, X-11 ARIMA, X-12 ARIMA 등 이용
- 불규칙 요인 (I): 순환 요인, 계절적 요인, 추세 요인을 설명할 수 없는 부분, 주로 가무 등과 같은 변화
' MCD(Months for Cyclical Dominance) 등 이용
- 순환 요인 (C)
3. 경기순환의 국면 및 기준 순환일
1) 2분법
- 우리나라에서는 확장국면(회복, 호황)과 수축국면(후퇴, 불황)으로 구분하는 2분법 이용
2) 4분법
- 회복 / 호황 / 후퇴 / 불황 4가지로 나누는 것
4. 경기지수
1) 경기지수 : 경기동향을 알기 위한 지수, 대표적으로 경기종합지수(Composite Index)
- 기업경기실사지수 (BSI) : 100기준, 100이상이면 낙관 / 100이하면 비관
- 경기확산지수 (DI) : 경기의 변화 방향만 파악 / 경기국면 및 전환점 파악 가능, 50기준
2) 경기종합지수의 구성지표
- 선행종합지수
' 구인구직비율 / 재고순환지표 / 소비자기대지수 / 기계류내수출하지수 / 건설수주액(실질) / 수출입물가비율 / 코스피지수 / 장단기금리차
- 동행종합지수
' 비농립어업취업자 수 / 광공업생산지수 / 서비스업생산지수 / 소매판매액지수 / 내수출하지수 / 건설기성액(실질) / 수입액(실질)
- 후행종합지수
' 상용근로자 수 / 생산자제품재고지수 / 도시가계소비지출(실질) / 소비재수입액(실질) / 회사채유통수익률
5. 경기변동 이론
1) 케인즈의 경기변동 이론
- 경기변동의 원인은 독립지출인 투자의 불안정성이라 봄
- 경기변동 현상이 내생적으로 초래되는 시장의 실패라 간주
- 케인즈 이후 케이지안 경제학자들은 승수-가속도 모형으로 경기변동을 정형화시킴
' 승수-가속도 모형에 따르면 한계소비성향과 가속도 계수에 의해 산출량의 시간에 걸친 변화경로가 결정됨
- 케인즈 모형과 케이지안 모형 모두 스테그플레이션 현상을 설명하지 못함
2) 균형 경기변동 이론
- 소비자는 예산 제약 하에서 효용 극대화를 통해 수요를 결정, 생산자는 이윤극대화를 위한 적정 투자량과 고용량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외부적인 경제충격에 대한 조정을 함에 따라 소비, 투자 , 생산이 변화하게 되며 그로 인해 결국 경기변동이 발생
- 외생적 교란의 요인이 무엇인가에 따라
' 화폐적 균형 경기변동 이론 (Monetary Business Cycle, MBC)
- 경기변동은 예상치 못한 화폐량의 변동 (예상치 못한 화폐공급)
' 실물적 균형 경기변동 이론 (Real Business Cycle, RBC)
- 실물요인에 의한 경기변동 (기술적 변화, 인구변화 ,소비자 선호 변화, 정부 충격 등)
- 충격은 추세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
- 경기 변동의 지속성을 설명
- 산출량의 변화가 화폐에 영향을 주는 역의 인과관계가 있다고 본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0 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