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적 투자결정의 체계

1) 기대수익과 위험 두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평가
   - 투자가치 = f(기대수익, 위험)

2. 기대수익

1) 투자수익률
   - 주식투자 : 배당소득, 시세차익
   - (시점2 - 시점1 + 배당)/ 시점1

2) 기대수익률 측정
   - 각각의 확률의 곱

3) 과거 보유 수익률의 측정
   - 단일기간 수익률의 측정
        : 총 투자수익 / 기초투자액  [총 투자수익 : 배당/이자 + 시세차익(차손)]
   - 다기간 보유 수익률 측정
        (1) 내부수익률 (IRR)
         : 서로 상이한 시점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의 크기와 화폐의 시간적 가치 고려
        (2) 산술평균 수익률 (ARR)
         : 관찰수(기간수)로 나누어 측정
        (3) 기하평균 수익률 (GRR)
         : 재투자되어 증식되는 것을 감안한 평균수익률

3. 투자위험

1) 분산, 표준편차에 의한 측정
   - 범위 : 최대치 - 최소치
   - 분산
   - 표준편차
   - 분산계수(CV)
   - 1 시그마 = 68.27% / 2시그마 : 95.24% / 3시그마 : 99.97%

4. 위험회피도와 최적 증권의 선택

1) 첫째, 투자가치는 기대수익과 위험 요인에 의해 결정됨
   : 평균-분산기준, V(투자가치) = f[E(R), d^2]

2) 둘째 : 위험이 가장 낮은 투자대상을 선택하고, 위험이 동일한 투자대상들 중에서는 기대수익률이 높은것 선택

3) 셋째 : 재비원리를 충족시키는 효율적 증권에 대해 최정 선택

4) 효용과 투자자의 위험성향 유형
   - u = E(R) - c*d^2
   - 위험회피형 / 위험선호형 / 위험중립형

5) 등 효용곡선
   - 특정 투자자에게 동일한 효용을 가져다주는 기대수익과 표준편차의 조합

6) 최적 증권의 선택
   - 가장 높은 수준의 효용을 제공하는 증권 (최적 증권, 최적 포트폴리오)
,

0 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