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MM과 Miller의 한계

1) 파산비용과 정보비용이 있는 현실에 있어서 한계를 가짐

2. 파산비용

1) 파산비용의 내용
   -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는 정부채권등과 달리, 약속한 미래 현금흐름에 대한 보장을 하지 않음
     - 첫째, 모든 무형자산의 가치가 0이 된다
     - 둘째, 유형자산도 제값을 받고 팔지 못한다
     - 셋째, 청산과정 자체가 비용을 수반한다
     - 청산가치가 채권 가치에 미달하게 되면, 주주의 유한책임 원칙에 의해 채권자가 부담
     - 채권의 가격 산정에 감안되는 지급불능 위험 : 기대 파산비용
        - Kc(s) - (rf + rb) * (1-t)
2) 최적 자본구조
   - 파산비용이 도입되었을 때, Ka(L)이 도중에 상승 추세로 전환하는 것은, 타인자본의 규모가 증가하면서 (D(L)/E(L))을 넘어서게 되면, 한계 파산비용이 한계 시금 혜택보다 커지기 때문임

3. 대리비용

1) 대리비용의 내용
   - 정보비용이 없다는 내용을 예외로 처리
     - 감시비용
          - 위임자가 대리인을 감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
     - 확증비용
          - 대리인이 사적 위임계약에 따라 충실하게 위임자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사실을 위임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발생하는 비용
     - 잔여손실
          - 총비용 - (감시비용 + 확증비용)
   - 자기자본 대리비용 / 타인자본 대리비용
     - 자기자본 대리비용 : 경영자가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위임자인 주주의 이익을 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
     - 타인자본 대리비용 : 주주가 유한책임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채권자가 자금을 빌려준 후에 통제권을 일임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비용
   - 부의 이전 / 과다투자 / 과소투자
     (1) 자금이 이미 조달된 상태에서는 경영자는 자본예산의 변동성을 되도록 크게 유지하려고 함
     (2) 현재 자산가치가 부채가치를 하회할 때, NPV가 0 보다 작더라도 프로젝트의 미래 현금흐름이 충분히 커서 미래 자산가치가 미래 부채가치를 능가할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동 프로젝트를 선택함
     (3) 현재 자산가치와 부채가치의 차이보다 작다면, 경영자는 프로젝트의 선택을 포기

2) 최적 자본구조
   - 총 대리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타인자본의 규모

4. 신호효과

1) 타인자본을 증가시켜 지급이자를 증가시키고자 함
   - 매력 있는 실물 투자안 확보
,

0 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