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당정책

1) 친배당 이론
   - 배당을 지급하면 기업가치가 상승
   - 동일한 순이익을 효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배당으로 실현
2) 반배당 이론
   - 배당을 지급하면 기업가치가 하락
   - 세후 실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은 배당소득보다는 세후 실소득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가 차익 실현
3) 배당금의 지급 여부는 기업가치를 변화시킬 수 없다

2. MM(1961)

1) 배당정책은 기업가치를 변화시키지 않음

3. 배당 관행

1) 기업은 되도록 현재의 배당 수준을 유지하려고 함

4. 신호 효과

1) 정보 불균형을 하나의 투자위험으로 인식하고 위험 보상을 요구하고, 이는 주가 하락 및 기업가치를 감소시킴

5. 대리비용

1) 외부 주주는 자유 현금흐름의 존재를 알고 있다면 이를 모두 배당으로 지급을 요구할 것임
2) 외부 주주는 정보 불균형을 해소할 수 없다면 타인자본의 사용을 극대화할 것을 요구할 것이고 경영자는 파산 위험을 피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이를 거부할 명분이 없음

6. 고객군 효과

1) 자신의 한계소득세율에 따라 특정 배당정책을 선호하여 형성된 특정 기업 주주들의 무리 : 고객군
   - 기업은 배당정책의 변화를 꺼리게 됨


,

0 개의 댓글